본문 바로가기
IT 이야기

K 패스 케이패스 교통카드 신청 자격 조건 및 신청 방법

by 푸른밤지기 2024. 5. 15.

요즘 오를대로 오른 물가에 교통비 부담도 한 몫을 하고 있습니다.

그래서 정부와 지자체에서도 교통비 할인 지원 정책을 많이 펼치고 있는데요. 

 

 

오늘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지역에 상관없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한 K 패스(케이패스) 교통카드 신청 자격 조건 및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썸네일

 

 

1. K-패스란?

'Korea-Pass'의 줄임말로, 국토교통부에서 출시한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 사업입니다.

 

 

2. 가입 조건

가입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.

  • 만 19세 이상 성인
  • 본인 명의 휴대폰 소지자
  • K-패스 카드 발급(알뜰교통카드 가능)
  • K-패스 참여 지자체 주민(외국인도 가능)
  • K-패스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회원가입 필수

 

3. 적립 수단

전국 모든 대중교통(버스, 지하철, 신분당선, 광역버스, GTX 등) 이용 시 적립이 가능합니다.

※ 시외(고속)버스, KTX, SRT 등 별도의 발권을 통해 탑승하는 교통수단은 포함되지 않습니다.

 

 

4. 적립 기간

매월 1일 ~ 말일

 

 

5. 적립률

  • 일반 : 20% 
  • 청년('청년기본법'에 따른 만 19세 ~ 34세) : 30%
  • 저소득층('기초생활보장법'에 따른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) : 53%

 

6. 지급 기준

  •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지급합니다.(가입 첫 달은 15회 미만 이용 시에도 지급)
  • 월 60회 초과 이용자는 이용금액이 높은 순으로 60회까지 지급합니다.
  • 월 대중교통 이용금액 20만 원 초과 시, 초과 이용금액에 대해서는 50%만 적용하여 지급합니다.

 

7. 최대 지급 금액

대중교통 월 이용요금 20만 원까지는 전액 인정, 20만 원 초과 시 이용 요금의 50%만 적용됩니다.

 

ex) 월 60회분에 해당하는 금액이 22만 원인 경우 : 20만 원+(2만 원x50%) = 21만 원에 대한 20~53%(조건에 따른 적립률 적용) 환급률이 적용됩니다.

 

 

8. 지급일

적립 월의 익월 5영업일에 이용 중인 카드사로 최종 지급 금액을 보내드립니다.

 

 

9. K-패스 참여 지역

아래 17개 시도 189개 시군구에서 K-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K 패스 참여 지역
출처 : K-패스 공식 홈페이지

 

 

10. 지역 별 추가 혜택

지자체별 혜택은 별도의 가입 없이, K-패스 회원이라면 해당 지자체 주민에게 자동으로 적용됩니다.

(자신 또는 타인의 영리 목적 등 부당한 이용이 확인되는 경우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.)

 

1) 더 경기패스

경기도민의 교통비 부담 완화 및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한 경기도민 맞춤형 교통비 지원 카드입니다. 

 

더 경기패스 대상자

주민등록상 주소지가 경기도인 만 19세 이상 경기도민

 

더 경기패스 혜택

-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무제한으로 교통비 실사용액의 일정 비율 지원(61회 이상 이용 건도 무제한 지급)

- 청년층을 만 19~39세로 확대하여, 월별 교통비의 30% 환급

- 저소득층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 등은 월별 교통비의 최대 53% 환급

 

 
2) 인천광역시 I-패스 혜택
 
정부의 K-패스를 기반으로 지원 범위와 혜택을 넓혀 추진하는 인천형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입니다.
 
 
인천 I-패스 대상자

 

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인천광역시인 만 19세 이상 인천시민
 
 

인천 I-패스 혜택

 

- 청년층을 만 19~39세로 확대
- 65세 이상 어르신 혜택 적용

- 지급 횟수 무제한(61회 이상 이용 건도 무제한 지급)

 

 

11. 이용방법

1)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

  • 2024. 4. 30일 이용내역까지 알뜰교통카드 적립이 되며, 2024. 6. 30일까지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K-패스로 전환이 가능합니다.
  • K-패스 회원 전환 시 사용 중인 알뜰교통카드와 계정 그대로 K-패스에서 이용 가능합니다.
  • 2024. 4. 30일까지 회원전환을 하지 않는 경우, 회원 전환일 또는 K-패스 신규 가입일부터 혜택이 적용됩니다.

2) K-패스 카드 신규 가입

  • 카드사에서 K-패스 카드를 신청 또는 알뜰교통카드를 준비합니다.
  • K-패스 앱 또는 홈페이지(korea-pass.kr)에 접속합니다.
  • 회원가입을 클릭합니다.
  • 발급된 카드의 카드번호 15~16자리를 입력하고 [유효성 체크]를 클릭합니다.
  • 본인명의 휴대폰으로 본인인증을 진행합니다.(PASS앱 또는 문자인증)
  • 주민등록번호(외국인등록번호) 입력 후 주소지 검증을 실시합니다.
  • 회원 정보 입력 후 가입을 완료합니다.

 

12. 카드 소개

발급 관련해서는 카드사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. 후불교통카드를 모바일페이 앱으로 이용 시 지원되는 카드 및 앱을 꼭 확인해 주세요.

 

K 패스 카드 소개
K패스 카드 소개 2
K패스 카드 소개 3
출처 : K-패스 공식 홈페이지

 

 

 

13. 문의하기

K-패스 정책 및 제도 문의

  • 한국교통안전공단 : 054-459-7441, 7442, 7446
  •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: 044-201-5084, 5086

이용 및 적립금 문의

  • K-패스 고객센터 : 031-427-4415
     

 

지금까지 K 패스 교통카드 신청 자격 조건 및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
 

요약

전국에 있는 만 19세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는 분들이라면 별도의 까다로운 절차 없이 혜택을 받으실 수 있기 때문에 모두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

 

거의 대부분의 은행, 카드사마다 K 패스 교통카드 발급을 지원하고 있으므로 K 패스용 체크카드 또는 신용카드를 새로 발급받거나, 기존에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하고 계셨던 분들이라면 새로 발급받으실 필요 없이 기존의 카드를 이용하시면 됩니다.

 

Tip!

K 패스 실물 카드가 있어도 K 패스 홈페이지 또는 앱을 통해 회원가입을 하지 않으면 혜택을 받아보실 수 없으니, 카드 발급 후 꼭 K-패스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.

 

K패스 신청 바로가기

 

다음 시간엔 케이뱅크를 통한 K 패스 카드 발급 후기 포스팅으로 찾아오겠습니다.